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교육적 효과’ 개념의 비판적 분석 : Tyler ‘원리’를 중심으로A Critical Analysis of the Concept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 Focused on Tyler's ‘Rationale’

Other Titles
A Critical Analysis of the Concept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 Focused on Tyler's ‘Rationale’
Authors
윤희정
Issue Date
Dec-2009
Publisher
한국교육원리학회
Keywords
‘교육적 효과’; ‘원리’; 학습자의 변화; 목표 달성; 수단-결과 접근; 'educational effectiveness'; 'Rationale'; aspect of changes in learners; goal achievement; means-ends approach
Citation
교육원리연구, v.14, no.2, pp 65 - 84
Pages
20
Journal Title
교육원리연구
Volume
14
Number
2
Start Page
65
End Page
84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7441
ISSN
1598-1940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학‘ 연구에서 흔히 사용되는 ‘교육적 효과’라는 용어의 개념적 속성을 밝히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여러 연구들에서 언급되고 있는 ‘교육적 효과’의 개념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거쳐야 하는 것이 Tyler의 '원리'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Tyler의 '원리'에 담겨 있는 ‘교육적 효과’의 개념을 비판적 분석의 사례로 삼아 논의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Tyler의 입장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교육적 효과’의 속성을 대상과 내용, 그리고 근거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학습자의 변화, 변화의 내용으로서의 목표 달성, 효과성 판단의 기준으로서의 수단-결과 접근’을 Tyler의 논의에서 찾아볼 수 있는 ‘교육적 효과’ 개념의 구조라고 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Tyler에게 있어서의 ‘교육적 효과’는 측정 가능성에의 한정, ‘기능주의적 교육관’에 따르는 외연의 확대, 그리고 기존 ‘교육학’ 연구에서 발견되는 교육 개념의 부재 등의 속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탐구의 과정으로부터 기존 ‘교육학’ 연구에서 언급되는 개념 사례를 수집하고 비판적인 입장에서의 분석을 수행하며, 더 나아가 교육 자체의 효과의 의미망을 구조화하는 데 있어서의 출발점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Yun, Hui Jeong photo

Yun, Hui Jeong
기초교양대학 (기초교양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