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애착관계 및 유형과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open accessThe Influence of Attachment Relationship and Style and Career Search Self-Efficacy on Career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 Other Titles
- The Influence of Attachment Relationship and Style and Career Search Self-Efficacy on Career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 Authors
- 최옥현; 김봉환
- Issue Date
- Sep-2007
- Publisher
- 한국상담학회
- Keywords
- 대학생; 애착관계; 애착유형; 진로탐색효능감; 진로탐색; 진로미결정; 진로정체감; 진로적응성; College students; attachment relationship; attachment style; career search self-efficacy; career exploration; career indecision; career identity; career adaptability.; College students; attachment relationship; attachment style; career search self-efficacy; career exploration; career indecision; career identity; career adaptability.
- Citation
- 상담학연구, v.8, no.3, pp 1063 - 1084
- Pages
- 22
- Journal Title
- 상담학연구
- Volume
- 8
- Number
- 3
- Start Page
- 1063
- End Page
- 1084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8350
- DOI
- 10.15703/kjc.8.3.200709.1063
- ISSN
- 1598-2068
- Abstract
- 본 연구는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전환과정에 있는 대학생(N=613)의 애착관계 및 유형과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 결정․탐색․적응수준을 포함하는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동시적 회귀분석 결과, 애착관계 변인들의 경우 부애착, 모애착, 동료애착 모두 진로탐색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애착유형 변인들의 경우, 불안 및 회피 모두 진로탐색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관계 및 유형 변인들의 결합적 영향을 탐색하기 위한 동시적 회귀분석 결과, 불안, 동료애착 및 부애착이 진로탐색효능감을 설명하는데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애착관계 및 유형 변인들은 인구학적 변인들을 통제한 후 진로발달 변인들 각각을 상이한 방식으로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애착 및 불안은 진로관련 자기탐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부애착 및 불안은 진로관련 환경탐색에 유의한 영향을 지니며, 모애착이 진로미결정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불안이 진로정체감을 유의하게 예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애착, 부애착, 불안 및 회피는 진로적응성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로탐색효능감은 자기탐색, 환경탐색, 진로미결정, 진로정체감 및 진로적응성 모두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진로적응성과 진로탐색에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 대학생, 애착관계, 애착유형, 진로탐색효능감, 진로탐색, 진로미결정, 진로정체감, 진로적응성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문과대학 > 교육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