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여성노동자의 사회문화적 적응에 관한 경험적 연구An Empirical Study on the Sociocultural Adaptation of Immigrated Women Laborers in Korea
- Other Titles
- An Empirical Study on the Sociocultural Adaptation of Immigrated Women Laborers in Korea
- Authors
- 김영란
- Issue Date
- May-2007
- Publisher
-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 Keywords
- 이주의 여성화; 성별화된 이주; 사회문화적 적응; 표적집단정책; feminization of immigration; the gender of the migrant; sociocultural adaptation; target group policy
- Citation
- 아시아여성연구, v.46, no.1, pp 43 - 95
- Pages
- 53
- Journal Title
- 아시아여성연구
- Volume
- 46
- Number
- 1
- Start Page
- 43
- End Page
- 95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8425
- ISSN
- 1225-9241
- Abstract
- 본 연구는 현재 한국에 이주해 있는 여성노동자들의 사회문화적 적응에 대해 경험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문화적 적응지원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노동자들은 주로 제3세계 국가이면서 가부장적 사회로부터 유입되고 있으며, 노동시장에 편입해도 성별로 분업화된 직종에 주로 종사하고 있다. 즉 남성보다 낮은 지위, 임금, 작업환경, 모성보호 부재와 함께 성폭력을 경험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주여성은 인종 및 계층문제뿐만 아니라 성문제 등이 중첩되어 이주남성노동자보다 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이주자들이 이주국에 편입되면 그 사회에 적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이주국에 대한 언어, 법과 제도 그리고 생활양식 등에 대한 지식 및 인식이 필요하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이주여성노동자들은 남성보다 사회문화적 적응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될 가능성이 있으며, 나아가 여성들간에도 적응에 있어 차이를 보일 수 있다. 그런데 실제 조사결과 사회문화적 적응과 관련하여 성별 차이보다는 여성 집단간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주여성노동자들의 사회문화적 적응을 위해서는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적응관련 정책뿐만 아니라 여성 집단간의 차이를 고려한 맞춤식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사회과학대학 > 사회심리학과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