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세기말의 인간학과 이종(異種)들 - 프랑크 베데켄트의 ‘룰루-비극’과 프리츠 랑의 <메트로폴리스>에 나타난 동물성과 기계성 -Anthropology and Heterogeneity at the Turn of the Century - Animal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in Frank Wedekind's Lulu tragedy and Fritz Lang's Metropolis

Other Titles
Anthropology and Heterogeneity at the Turn of the Century - Animal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in Frank Wedekind's Lulu tragedy and Fritz Lang's Metropolis
Authors
정현규
Issue Date
Dec-2020
Publisher
한국헤세학회
Keywords
Donna Haraway; Lulu-tragedy; Metropolis; Animalität und Mechanismus; Non-existent; Donna Haraway; Lulu-Tragödie; Metropolis; Tierische Eigenschaften; Technische Eigenschaften; Non-Wesen; 다나 해러웨이; 룰루-비극; 메트로폴리스; 동물성; 기계성; 비존재
Citation
헤세연구, v.44, pp 121 - 139
Pages
19
Journal Title
헤세연구
Volume
44
Start Page
121
End Page
139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933
DOI
10.31133/HF.2020.12.44.117
ISSN
1598-3668
Abstract
해러웨이는 자신의 페미니즘적 이론을 뒷받침하기 위해 조금 독특한 방식을 취한다. ‘유인원’과 ‘사이보그’를 ‘여성’과 같은 맥락에 위치시킴으로써, 기존의 차별적 이원론을 해체하는 방식을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베데킨트의 ‘룰루-비극’과 프리츠 랑의 <메트로폴리스>는, 해러웨이적 시각의 단초를 보여주는 동시에 그 한계를 보여주는 훌륭한 예시로 기능한다. 베데킨트의 룰루는 기존의 서구의 다양한 이원론, 특히 남과 여의 이원론을 흔드는 경계적 존재로 기능하며, 프리츠 랑의 사이보그 마리아는 자본주의적 이원론, 즉 머리와 손의 이원론을 흔든다. 이들 경계적 피조물들은 ‘괴물 monsters’로서 현존하는 차별적 세계관을 ‘보여주는 de-monstrate’ 존재, 아니 ‘비존재’로 기능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미덕에도 불구하고 두 작품 모두 이 비존재를 창녀로 파멸시킴으로써 옛 질서로 회귀하는 듯한 결말을 보여주는 한계를 가진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독일언어·문화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ung, Hyun Kyu photo

Jung, Hyun Kyu
문과대학 (독일언어·문화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