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기말의 인간학과 이종(異種)들 - 프랑크 베데켄트의 ‘룰루-비극’과 프리츠 랑의 <메트로폴리스>에 나타난 동물성과 기계성 -Anthropology and Heterogeneity at the Turn of the Century - Animal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in Frank Wedekind's Lulu tragedy and Fritz Lang's Metropolis
- Other Titles
- Anthropology and Heterogeneity at the Turn of the Century - Animal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in Frank Wedekind's Lulu tragedy and Fritz Lang's Metropolis
- Authors
- 정현규
- Issue Date
- Dec-2020
- Publisher
- 한국헤세학회
- Keywords
- Donna Haraway; Lulu-tragedy; Metropolis; Animalität und Mechanismus; Non-existent; Donna Haraway; Lulu-Tragödie; Metropolis; Tierische Eigenschaften; Technische Eigenschaften; Non-Wesen; 다나 해러웨이; 룰루-비극; 메트로폴리스; 동물성; 기계성; 비존재
- Citation
- 헤세연구, v.44, pp 121 - 139
- Pages
- 19
- Journal Title
- 헤세연구
- Volume
- 44
- Start Page
- 121
- End Page
- 139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933
- DOI
- 10.31133/HF.2020.12.44.117
- ISSN
- 1598-3668
- Abstract
- 해러웨이는 자신의 페미니즘적 이론을 뒷받침하기 위해 조금 독특한 방식을 취한다. ‘유인원’과 ‘사이보그’를 ‘여성’과 같은 맥락에 위치시킴으로써, 기존의 차별적 이원론을 해체하는 방식을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베데킨트의 ‘룰루-비극’과 프리츠 랑의 <메트로폴리스>는, 해러웨이적 시각의 단초를 보여주는 동시에 그 한계를 보여주는 훌륭한 예시로 기능한다. 베데킨트의 룰루는 기존의 서구의 다양한 이원론, 특히 남과 여의 이원론을 흔드는 경계적 존재로 기능하며, 프리츠 랑의 사이보그 마리아는 자본주의적 이원론, 즉 머리와 손의 이원론을 흔든다. 이들 경계적 피조물들은 ‘괴물 monsters’로서 현존하는 차별적 세계관을 ‘보여주는 de-monstrate’ 존재, 아니 ‘비존재’로 기능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미덕에도 불구하고 두 작품 모두 이 비존재를 창녀로 파멸시킴으로써 옛 질서로 회귀하는 듯한 결말을 보여주는 한계를 가진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문과대학 > 독일언어·문화학과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