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예 공간 연출의 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A Study of Analytical Classification of Floral Space Design
- Other Titles
- A Study of Analytical Classification of Floral Space Design
- Authors
- 김다경; 유택상
- Issue Date
- Aug-2016
- Publisher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 Keywords
- 화예공간연출; 유형분석; 근거이론방법론; 코딩; Floral Space Design; Analytical Classification; Grounded Theory; Cording
- Citation
-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no.35, pp 171 - 191
- Pages
- 21
- Journal Title
-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 Number
- 35
- Start Page
- 171
- End Page
- 191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9459
- ISSN
- 1598-1223
- Abstract
- 오늘날 화예디자인 작업은 과거 꽃꽂이의 영역을 넘어 다양한 형식으로 발전하고 있어 그 가운데는 꽃과 식물을 활용하여 분위기를 연출하는 공간 연출에 활용되어 훌륭한 연출 결과를 이루어내는 사례 또한 적지않다. 이러한 화예 공간 연출을 행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화예디자인의 기량 이외에도 공간적 특성과 그 연출의 가능성을 이해하고 탐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화예 작품을 포함한 공간의 연출 사례의 분석을 통해 해당 연출의 방법을 분석하고 연출적 가이드라인의 도출을 시도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위해 공간의 유형을 탐구함에 있어 다양한 사례 이미지를 수집, 분석하여 공간적 특성을 바탕으로 구분하여 유형화하였다. 그 과정에서 행동장면분석과 근거이론방법론이 사용되었으며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총 48개의 화예 공간 연출 유형을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첫째, 공간이 하나의 디자인의 요소가 되어 화예 연출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며, 둘째, 공간 연출에 있어 참여자와 관찰자의 체험과 같은 다양한 요소를 고려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셋째로 분석과 유형화를 통해 얻어진 특징들과 48개의 화예 공간 연출의 유형은 작품을 분석하는 데 뿐 아니라 창작하는 데도 활용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라이프스타일디자인학과 > 화예디자인전공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