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관광객 특성, 음식관광활동에 따른 음식문화속성 중요도, 만족도 차이연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Food Culture Attributes According to Food Tourist Characteristics and Food Tourism Activities: Focusing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 Other Titles
-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Food Culture Attributes According to Food Tourist Characteristics and Food Tourism Activities: Focusing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 Authors
- 길가영
- Issue Date
- Oct-2020
- Publisher
- 한국상품학회
- Keywords
- 음식관광; 음식문화; 음식관광활동; 음식문화속성; 음식관광객; 광주광역시; food tourism; food culture; food tourism activities; food culture attributes; food tourists; Gwangju Metropolitan City
- Citation
- 상품학연구, v.38, no.5, pp 81 - 89
- Pages
- 9
- Journal Title
- 상품학연구
- Volume
- 38
- Number
- 5
- Start Page
- 81
- End Page
- 89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106
- DOI
- 10.36345/kacst.2020.38.5.010
- ISSN
- 1226-6132
- Abstract
- 본 연구는 광주를 방문한 음식관광객의 특성과 음식관광활동에 따른 음식문화속성요인 간 중요도와 만족도 차이를 규명하여 광주지역 음식관광정책에 실무적인 기초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음식관광객 특성에서는 대학원이상 고학력에 500만원이상 고소득 관광객들은 전통체험성(중요도), 지역정체성(중요도), 지역특수성(중요도)에 높은 유의성을 보였다. 특히 지역특수성에서는 40~50세, 60세 이상이 높은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음식관광활동에서는 맛집탐방보다 타 지역의 음식문화를 경험하는 관광활동(농장/텃밭체험, 음식축제관람, 지역요리배우기, 재래시장방문, 음식박물관/음식전시관방문)을 고르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문적인 광주음식문화 해설자양성, 지역민 주도형 음식문화체험 프로그램 운영, 광주음식문화콘텐츠 AR(증강현실), VR(가상현실) 기술 활용에 대한 실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문과대학 > 문화관광외식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