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서양 철학의 전통적 악 개념과 『토지』의 악(惡) 개념에 대한 비교 검토A Comparison between the Traditional Concept of Evil in Western Philosophyand that Presented in Park Gyung-Ri's Novel Titled "Toji"

Other Titles
A Comparison between the Traditional Concept of Evil in Western Philosophyand that Presented in Park Gyung-Ri's Novel Titled "Toji"
Authors
구연상
Issue Date
Jun-2013
Publisher
대동철학회
Keywords
The traditional concept of evil; Immanuel Kant's concept of evil; a desire to get reprimanded; the concept of evil presented in the novel titled Toji; the structure of evil.; 전통적 악 개념; 칸트의 악 개념; 질책 받을 만한 욕망; 토지의 악 개념; 악의 구조.
Citation
대동철학, v.63, pp 179 - 199
Pages
21
Journal Title
대동철학
Volume
63
Start Page
179
End Page
199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1606
ISSN
1229-0750
Abstract
이 글은 제1장에서 서양의 전통적 악 개념을 ‘옳지 않은 동기로부터 말미암은 행위’, 한 마디로, 동기주의로 규정한 뒤 이러한 규정의 정당성을 세 명의 철학자를 통해 검토한다. 가장 먼저 칸트의 악 개념은 그가 악을 ‘자신의 이익을 위해 도덕법칙을 어기는 일’로 본다는 점에서 동기주의라 할 수 있고, 아우구스티누스의 악 개념은 그가 악을 ‘질책 받을 만한 욕망에 의해 이루어지는 행위’로 본다는 점에서 전통적 악 개념에 포함되며, 마지막으로 리쾨르의 악 개념은 그가 악을 ‘신에 맞서려는 교만한 마음’에 근거하는 것으로 본다는 점에서 전통적 개념에로 되돌아간다. 이러한 서양 철학의 전통적 악 개념은 선의 결핍이라는 더 오래된 악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핍은 마땅히 있어야 할 좋은 어떤 것이 없거나 모자란 상태를 뜻한다. 물건을 쥐는 데 쓰기 좋은 손이 없거나 올바른 삶을 살기 위해 갖춰야 할 진리에 대한 앎이 없는 사람은 그러한 결핍으로 말미암아 삶이 불편해지거나 진리의 길에서 벗어나거나 실제로는 나쁜 일을 그것이 마치 좋은 일인 양 저지르기가 쉽다. 모든 악은 이러한 결핍의 산물인데, 특히 의지가 올바른 이성 대신 육체적 욕망을 따르는 잘못(결핍)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따라서 의지가 그것이 창조된 당시의 그 선한 목적을 되찾기만 한다면, 악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제2장에서 나는 박경리의 소설 『토지』에 나타난 악 개념을 분석한 뒤 그 분석 결과를 제1장에서 규정한 서양의 전통적 악 개념과 비교한다. 우리가 소설 『토지』에 나타난 악 개념을 통해 볼 때 서양의 전통적 악 개념에는 적어도 다음 두 가지가 보완될 필요가 있다. 하나는 악은 동기 중심으로 설명될 수 없고 언제나 ‘저지름-당함’의 얼개라는 구조로써 파악되어야 한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악은 그에 대한 고백과 맞섬이 펼쳐질 때에만 악으로서 드러날 수 있다는 점이다. 먼저, 우리는 ‘최치수 죽이기’의 보기로써 악은 누군가 ‘몹쓸 마음’을 먹거나 ‘몹쓸 말’을 하는 것만으로 반드시 일어나는 것도 아니고, 누군가 단순히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당한 것만으로 악의 발생 사실이 인정되지도 않는다는 점을 보았다. 즉 악의 일어남에는 몹쓸 짓을 저지르는 사람과 몹쓸 피해를 당하는 사람이 함께 속해야 한다. 다음으로, 우리는 자신이 당한 몹쓸 짓에 대해 아무런 고백조차 할 수 없었던 삼월이의 경우와 저질러진 악에 당당히 맞서 싸운 서희의 경우를 비교함으로써 악이란 그 자체로 성립되는 ‘객관적 사실’과 같은 게 아니라 누군가의 고백이나 고발 또는 맞섬을 통해 ‘악’으로 밝혀지고 알려지고 정립되는 것임을 주장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Gu, Yeon Sang photo

Gu, Yeon Sang
기초교양대학 (기초교양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