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의 품종과 입도를 달리한 탁주의 품질특성Characteristics of Takju with Different Varieties of Rice and Particle Size
- Other Titles
- Characteristics of Takju with Different Varieties of Rice and Particle Size
- Authors
- 이효정; 이인숙; 정희선
- Issue Date
- Jun-2012
- Publisher
- (사)한국조리학회
- Keywords
- uncooked method; coarse rice powder; ultra fine rice powder; variety; particle size
- Citation
-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v.18, no.3, pp 191 - 205
- Pages
- 15
- Journal Title
-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Volume
- 18
- Number
- 3
- Start Page
- 191
- End Page
- 205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2203
- DOI
- 10.20878/cshr.2012.18.3.014
- ISSN
- 2466-0752
2466-1023
- Abstract
- 식생활이 다양화되고 편의화 됨에 따라 쌀 소비량은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의 쌀 소비를 촉진시키고 쌀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주식으로서의 쌀 외에 쌀 가공식품 개발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 술을 이용한 쌀소비는 다른 쌀 가공식품에 비해 높은 부가가치성을 지니므로 더욱 주목된다. 본 연구는 쌀 품종과 입도의 가공특성을 달리하여 탁주를 제조한다음 품온, 당도, 알코올 함량, 산도, 아미노산가,pH, 색도 및 관능 등의 품질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먼저 안다, 하이아미, 추청 세 품종의 쌀가루를 이용하여 무증자법으로 탁주를 제조한 다음입도별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모든 탁주 술덧의 품온은 담금 2일 후 최고 온도에 도달하였다.
품종에 따른 차이는 산도와 관능 평가에서만 나타났다. 산도의 경우 안다, 추청, 하이아미 순으로높게 나타났고, 관능 평가는 추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입도별로는 알코올 함량과 산도는 중분쇄 쌀가루 탁주에서 높게 나타났고 담금 직후의품온, 당도, 아미노산가, pH, 색도, 관능은 초미세쌀가루 탁주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쌀 품종과 입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무증자 탁주는 추청 초미세 쌀가루로 담그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전통예술학과 > 전통식생활문화전공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