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외식 및 가공식품의 비타민 K 함량 분석Determination of Vitamin K in Korean Processed Food and Restaurant Meal
- Other Titles
- Determination of Vitamin K in Korean Processed Food and Restaurant Meal
- Authors
- 김예진; 김건오; 김급래; 김준호; 이동희; 권시용; 이준수; 장금일; 김병희; 성지혜
- Issue Date
- Jan-2022
- Publisher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Keywords
- key food; vitamin K; phylloquinone; menaquinone; HPLC
- Citation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51, no.1, pp 56 - 63
- Pages
- 8
- Journal Title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Volume
- 51
- Number
- 1
- Start Page
- 56
- End Page
- 63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45956
- DOI
- 10.3746/jkfn.2022.51.1.56
- ISSN
- 1226-3311
2288-5978
- Abstract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소비되고 있는 우리 국민의 식습관과 섭취량을 고려한 주요 식품(key food)을 선정하여 비타민 K 함량을 분석하여 기초데이터를 마련하고, 실험에 사용한 분석법을 검증하여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조리된 외식 및 가공식품의 비타민 K는 식품공전법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방법의 검증은 반복성, 재현성, 특이성을 고려하였으며 분석 품질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해조류인 김구이에서 913.87 µg/100 g, 파래김에서 745.12 µg/ 100 g으로 비타민 K 함량이 높게 분석되었다. 나물류(176.17 µg/100 g), 김치류(22.22~228.23 µg/100 g) 등 식물성 식품에서는 비타민 K1이 주로 검출되었고 달걀노른자(18.28 µg/100 g), 오겹살 구이(127.29 µg/100 g) 등 동물성 식품에서는 비타민 K2가 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주요 외식 및 가공식품은 한국인의 비타민 K 섭취를 위한 좋은 급원식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자료는 국내 주요 외식 및 가공식품의 비타민 K 기초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생활과학대학 > 식품영양학과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