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The Moderating Effects of Supervisory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among Play Therapists

Other Titles
The Moderating Effects of Supervisory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among Play Therapists
Authors
권도연진미경
Issue Date
Feb-2021
Publisher
한국놀이치료학회
Keywords
Play Therapist; Psychological Burnout; Self-efficacy; Supervisory relationship; 놀이치료자; 심리적 소진; 자기효능감; 수퍼비전 관계
Citation
한국놀이치료학회지, v.24, no.1, pp 1 - 18
Pages
18
Journal Title
한국놀이치료학회지
Volume
24
Number
1
Start Page
1
End Page
18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46779
DOI
10.17641/KAPT.24.1.1
ISSN
1229-0858
2384-0153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병원 내 놀이치료실, 대학 부설 놀이치료실, 복지관 내 놀이치료실, 아동상담센터 등에서 종사하고 있는 놀이치료자 169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척도(COSE), 수퍼비전 관계 척도(K-S-SRQ), 심리적 소진 척도를 사용하였다. 첫째,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수퍼비전 관계(구조화, 성찰적 교육, 안전기반), 심리적 소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수퍼비전 관계 하위요인 중 구조화가 심리적 소진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비전 관계 총점과 하위요인(구조화, 성찰적 교육)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으며, 특히 수퍼비전 관계의 하위요인 중 구조화와 성찰적 교육이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함으로써 보호요인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수퍼비전 관계에서 환경적 측면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놀이치료자를 심리적 소진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있어 수퍼비전 개입의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burnout experienced play therapis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69 play therapists who have worked in the field of play therapy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both structure and play therapists’ self-efficac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Second, the total score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and its sub-factors (structure, reflective education) had largely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therapists’ self-efficacy and burnout.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burnout among play therapists. Understanding these relationships will help us verify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al aspects which operate within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and provided the basis for supervisors to intervene in protecting play therapists from burnout.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생활과학대학 > 아동복지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in, Mi Kyoung photo

Jin, Mi Kyoung
생활과학대학 (아동복지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