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문화콘텐츠 수용 환경이 콘텐츠 효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 애니메이션 효과에 대한 부모 인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enjoyment of cultural contents - Centered on parents’ evaluation of animation effect found in children -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enjoyment of cultural contents - Centered on parents’ evaluation of animation effect found in children -
Authors
김세훈
Issue Date
Jan-2013
Publisher
한국문화관광연구원
Citation
문화정책논총, v.27, no.1, pp 199 - 221
Pages
23
Journal Title
문화정책논총
Volume
27
Number
1
Start Page
199
End Page
221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47509
DOI
10.16937/jcp.27.1.201301.199
ISSN
17381258
Abstract
문화정책에서 문화콘텐츠 분야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문화콘텐츠의 수용과 관련해서는 비판적 담론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문화콘텐츠 정책이 주로 콘텐츠 생산 진흥 차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경향과 무관하지 않다. 이 연구는 문화콘텐츠 중 애니메이션, 특히 어린이 애니메이션 정책에서 수용자 정책이 더욱 강화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어린이 애니메이션 정책에서는 양질의 어린이 애니메이션 생산도 중요하지만, 애니메이션의 시청과 관련된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정책은 애니메이션 영향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낮추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이 연구는 어린이 애니메이션 영향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애니메이션 자체의 품질뿐 아니라 애니메이션의 수용 환경에 의해서도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입증하려고 했다. 곧, 어떠한 환경에서 애니메이션을 향유하는가에 따라 애니메이션 효과에 대한 인식은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는 어린이들이 애니메이션을 시청하는 상황에 대한 비교 분석과 그 효과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을 분석했다. 조사 결과, 애니메이션이 어린이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부모들은 부정적 견해를 우세하게 피력했다. 그러나 애니메이션 시청 시 동반자(특히 부모)가 함께하는 경우는 애니메이션의 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사실은 기존 연구와 같이 애니메이션 효과에 대한 인식이 애니메이션 자체의 품질(폭력성이나 선정성 등)이나 수용자의 심리적․정서적 상태뿐 아니라 시청 환경의 문제와도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동시에 정책적 차원에서는 콘텐츠 생산 및 품질 정책에서 콘텐츠 수용환경 조성정책으로 확대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past 10 years have witnessed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whose importance also has been broadly recognized within the cultural policy area. In spite of this development, however, there is the widely held negative perception of the industry’s impact in Korean society, especially in terms of levels of happiness. For example, many studies on the industry examine its negative effects on adolescents’ attitudes and their cognitive/psychological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lessen the gap between the efforts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industry and the negative perception of its products, whether games, cartoons or other media contents. The primary focus of this study is on animation and the effect it has on adolescents’ attitude. A questionnaire survey is conducted of parents with adolescent children, exploring their perception of the effects of animation on their own children’s attitude development.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parents’ perception of the effects of animations differs according to the way of enjoying that animation. That is, when children watch animations with their parents, this is positively perceived by parents. It also reveals that perceptions on the effects of animations differ by area, such as children’s learning, emotions and social relationships. For example, the animation’s effects on the children’s emotions are shown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on their learning. As a conclusion, the study proposes that animation’s effects should be differently recognized according to the area of individual’s development, such as learning, emotions or social relationships. It also proposes that a user-oriented policy should be developed in the cultural contents policy area.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문화관광외식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e Hun photo

Kim, Se Hun
문과대학 (문화관광외식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