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rumination,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Other Title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rumination,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Authors
심현례최한나
Issue Date
Jun-2023
Publishe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Keywords
internalized shame; ruminati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self-compassion; moderated mediating effect;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 자기자비; 조절된 매개효과
Cit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23, no.11, pp 479 - 495
Pages
17
Journal Titl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ume
23
Number
11
Start Page
479
End Page
495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1787
DOI
10.22251/jlcci.2023.23.11.479
ISSN
1598-2106
2671-776X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도 소재 대학생 401명의 설문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내면화된 수치심을 독립변인, 대인관계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반추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반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어 내면화된 수치심과 반추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가 검증하여, 자기자비가 내면화된 수치심이 반추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후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자기자비가 매개효과의 크기를 조절함을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자기자비 수준이 높아지면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의 크기가 낮아짐을확인하였다. 결론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반추의 매개경로를 검증하고, 이 매개효과의 크기를 낮출 수 있는 조절변인인 자기자비의 영향력을 통합적인 모형을 통해 탐색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상담 장면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으로 대인관계의 불편감과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담자들의 개인 내적 원인을 이해하고, 내담자들을 도울 수 있는 자기자비를 활용한 개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교육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i, Han Na photo

Choi, Han Na
문과대학 (교육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