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자의 자기자비 군집에 따른 심리적 소진,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의 차이Difference of Burnou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fficacy by the Cluster of Self-compassion in Counselor
- Other Titles
- Difference of Burnou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fficacy by the Cluster of Self-compassion in Counselor
- Authors
- 김윤희; 진미경
- Issue Date
- Feb-2023
- Publisher
- 인문사회 21
- Keywords
- 핵심어: 상담자; 자기자비; 심리적 소진;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 Key Words: Counselor; Self-compassion; Burnout;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fficacy
- Citation
- 인문사회 21, v.14, no.1, pp 71 - 86
- Pages
- 16
- Journal Title
- 인문사회 21
- Volume
- 14
- Number
- 1
- Start Page
- 71
- End Page
- 86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2074
- DOI
- 10.22143/HSS21.14.1.6
- ISSN
- 2951-049X
- Abstract
- 상담자의 자기자비 군집에 따른 심리적 소진, 심리적 안녕감,자기효능감의 차이김 윤 희*ㆍ진 미 경**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상담자를 대상으로 자기자비의 군집을 분류하고 관련된 심리적 변인인 심리적 소진,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서 상담자가 가진 자기자비 유형을 확인하고 유형 별 특성을 고려한 자기자비 증진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207명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를 대상으로 자기자비의 하위요인에 따라 군집을 분류한 결과 비자기자비 집단, 평균 이하 집단, 평균 집단, 자기자비 집단의 4개의 군집이 분류되었다. 둘째, 각 군집은 심리적 소진,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 발견한 상담자의 자기자비 군집유형과 특성을 바탕으로 상담자의 자기자비 수준을 높이기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핵심어: 상담자, 자기자비, 심리적 소진,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
□ 접수일: 2022년 12월 31일, 수정일: 2023년 1월 20일, 게재확정일: 2023년 2월 20일* 주저자,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아동심리치료전공 석사과정(First Author, Master’s Course, Sookmyung Women’s Univ., Email: ryoondheej@naver.com)** 교신저자,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Sookmyung Women’s Univ., Email: mkjin12@sookmyung.ac.kr)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생활과학대학 > 아동복지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