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AI시대 상상력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양교육의 운영 사례 연구 -AI활용 디지털 예술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중심으로-The Study of Operational Case of AI Imagination and Digital Literacy in Liberal Arts Education -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AI-enabled Digital Art-

Other Titles
The Study of Operational Case of AI Imagination and Digital Literacy in Liberal Arts Education -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AI-enabled Digital Art-
Authors
표정옥
Issue Date
Jan-2024
Publisher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Keywords
프로젝트; 디지털 리터러시; 교양교육; 인공지능; 예술; 군자불기; projects; digital literacy; digital networks; critical distance; Liberal Arts Education; AI; Arts
Citation
교양교육과 시민, no.9, pp 39 - 63
Pages
25
Journal Title
교양교육과 시민
Number
9
Start Page
39
End Page
63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60011
DOI
10.47142/GEC.9.2
ISSN
2713-6892
Abstract
본 연구는 학생들이 디지털 리터러시 교과에서 진행한 15주 과정을 살펴보면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과를 점검하고자 했다. 특히, 디지털 리터러시 교과로 운영된 반 중 특정 한 조가 진행한 <생성형 AI 활용 예술>을 통해 전반적인 교과 과정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수업은 프로젝트 형식으로 교수자의 강의는 최소로 진행하고 학생들은 15주의 대부분을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아이디어를 구상해서 차례 차례 과정을 거치는 단계별 형식을 가졌다. 학생들의 관심은 매우 다양하고 치밀하게 진행되었다. 첫째, 문제설정에서 시작한다. 다음으로 팀의 주제를 논제 형식으로 발표하고, 교수자와 상담을 거쳐 기획안을 발표하는 과정을 중간 기간에 진행한다. 상시로 상호피드백하는 창은 열어두었다. 다른 팀의 프로젝트에 대한 의견을 주는 것을 자유롭게 했다. 중간 이후 학생들은 자신들의 기획안에 맞는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 비판적 의식을 발현해서 집중 토론 시간을 갖고 프로젝트 결과물로 나아가면서 현실적인 문제들을 점검했다. 기말 결과물이 나오기까지 학생들은 리믹스 창의성 발휘, 팅커링 활동, 결과물 만들기 등을 진행한다. 공자는 군자의 미래를 규정할 때 ‘군자불기’라는 말을 하고 있다. 시대가 변하면 글쓰기와 토론이라는 교양도 디지털 리터러시라는 다른 그릇으로 변화하면서 새로운 내용을 담을 수 있을 것이다. 그 과정에서 대학 교양 교육에서 놓지 않아야할 것은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와 논리적 사고와 창의적 활동일 것이다. 그러한 활동으로 학생들은 현재의 자신을 반추하면서 미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창의적 능력이 함양되어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yo, Jung Ok photo

Pyo, Jung Ok
기초교양대학 (기초교양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