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공무원 조직에서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구성원의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발언행동 매개효과를 중심으로Effect of Leader's Communication Style on Job Crafting in Civil Service Organizations : Mediating effect of Voice Behavior

Other Titles
Effect of Leader's Communication Style on Job Crafting in Civil Service Organizations : Mediating effect of Voice Behavior
Authors
김용이남승하
Issue Date
Mar-2024
Publisher
경인행정학회
Keywords
Leader's communication style(Sociability; Dominance); Job-Crafting; Voice Behavior; 리더의 커뮤니케이션스타일; 잡크래프팅; 발언행동; 공무원 조직
Citation
한국정책연구, v.24, no.1, pp 61 - 86
Pages
26
Journal Title
한국정책연구
Volume
24
Number
1
Start Page
61
End Page
86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60028
DOI
10.46330/jkps.2024.3.24.1.61
ISSN
1598-7817
Abstract
본 연구는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시대 공무원 조직의 혁신에 효과적인 방안으로 잡크래프팅을 제시하였으며, 잡크래프팅의 선행요인으로 리더의 커뮤니케이션스타일(사교형‧독선형)과 구성원의 발언행동에 의한 영향을 검증하고, 발언행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A 중앙행정기관 공무원 352명의 유효 응답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리더의 사교형 커뮤니케이션스타일은 발언행동을 매개로 잡크래프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발언행동을 매개로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는 인지, 직무, 관계 크래프팅의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의 커뮤니케이션스타일 중 독선형은 구성원의 발언행동과 잡크래프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이는 독선적 커뮤니케이션스타일의 경우 심리적 변인에 유의하고 태도적 변인에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난 선행연구들과 일치한다. 본 연구를 통한 이론적 의의는 첫째, 리더의 커뮤니케이션스타일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였고, 둘째, 잡크래프팅의 3개 하위유형을 각각 개별 변인으로 하여 연구의 영역을 넓혔다는 것이다. 또한, 실무적으로 일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능동적 태도인 잡크래프팅을 높이기 위해 리더는 경청과 공감 기반의 커뮤니케이션스타일을 갖추어야 하며, 구성원이 창의적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발언할 수 있는 조직풍토를 마련해야 한다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 함의를 통해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부응하기 위한 조직관리 차원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과학대학 > 행정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Nam, Sung Ha photo

Nam, Sung Ha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