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자립준비청년의 심리상담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Exploring the Counseling Experiences of Youth Transitioning from the Child Welfare System: A Consensual Qualitative Analysis

Other Titles
Exploring the Counseling Experiences of Youth Transitioning from the Child Welfare System: A Consensual Qualitative Analysis
Authors
손수민이정우이예인박현숙이소연
Issue Date
Apr-2024
Publisher
한국상담학회
Keywords
자립준비청년; 심리상담; 내담자 경험; 합의적 질적연구(CQR); Youth Transitioning from the Child Welfare System; Psychological Counseling; Client Experience;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CQR)
Citation
상담학연구, v.25, no.2, pp 71 - 99
Pages
29
Journal Title
상담학연구
Volume
25
Number
2
Start Page
71
End Page
99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60047
DOI
10.15703/kjc.25.2.202404.71
ISSN
1598-2068
Abstract
본 연구는 합의적 질적연구(CQR) 방법을 사용하여 자립준비청년이 경험한 심리상담 과정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립 후 심리상담 경험이 있는 자립준비청년 1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6개의 영역, 15개의 범주, 22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각 영역은 ‘상담을 신청하게 된 계기’, ‘자립준비청년 내담자의 다양한 특성’, ‘상담자와의 관계 경험’, ‘상담 과정에서의 정서적 경험’, ‘상담 후의 변화’, ‘자립준비청년 대상 심리상담 서비스의 발전을 위한 제안’이다. 영역 1에는 상담을 찾게 된 동기, 상담에 대한 기대 2가지 범주가 도출되었고, 영역 2에서는 자립준비청년의 다양한 개인적 특성, 자립준비청년을 둘러싼 환경적 특성 2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영역 3에서는 상담 관계와 개입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경험과 자립준비청년 내담자를 상담하는 상담자의 역량과 태도에 관한 범주가 도출되었다. 영역 4에서도 상담 과정에 대한 긍정적 경험 및 부정적 경험, 상담 서비스의 수혜자로서의 경험과 관련된 3가지 범주가 포함되었다. 영역 5에서는 삶 전반의 변화와 상담에 대한 이해의 변화 2가지 범주가 포함되었다. 마지막 영역 6에서는 심리상담 서비스 개선 방향과 상담자의 상담역량 강화, 현행 서비스의 유지에 관한 3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자립준비청년의 심리상담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향후 자립준비청년 상담에서 고려할 점에 대해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함의,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 방향에 관하여 논하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생활과학대학 > 아동복지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o Yean photo

Lee, So Yean
생활과학대학 (아동복지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