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남녀 청년 집단별 아동기 폭력피해경험 프로파일 탐색The profile of childhood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among male and female youth groups

Other Titles
The profile of childhood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among male and female youth groups
Authors
양경해강현아강민지
Issue Date
May-2024
Publisher
한국아동권리학회
Keywords
young adult; childhood violence victimization; latent profile analysis; gender differences; 청년; 아동기 폭력피해; 잠재 프로파일 분석; 성별 차이
Citation
아동과 권리, v.28, no.2, pp 141 - 165
Pages
25
Journal Title
아동과 권리
Volume
28
Number
2
Start Page
141
End Page
165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60200
DOI
10.21459/kccr.2024.28.2.141
ISSN
1226-5713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남녀 청년 집단별로 아동기 폭력피해경험 잠재집단을 유형화하였으며 추출된 잠재 집단별로 청년기 심리·정서 특성을 파악하였다. 방법: SSK(한국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 연구단에서 2020년에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2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남자 청년 1,045명, 여자 청년 955명이 최종분석에 포함되었다. 결과: 프로파일 분석 결과, 남자는 ‘다중폭력피해 ‘고' 집단’, ‘가정내폭력 피해집단’, ‘폭력 피해 ‘저' 집단’이 추출되었으며 여자는 ‘폭력피해 ‘고' 집단’, ‘가정내폭력 피해집단’, ‘폭력 피해 ‘저' 집단’이 추출되었다. 남녀 모두 긍정적 심리특성은 ‘폭력피해 ‘저' 집단’에서 가장 높았다. 그러나 부정적 심리특성의 경우는 성별 차이를 보였는데, 즉, 남자집단에서는 ‘가정내폭력피해집단’, 여성 집단에서는 ‘폭력피해 ‘고' 집단’에서 부정적 심리특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추출된 아동기 폭력피해경험 프로파일과 그에 따른 심리적 특성들을 고려하여 남녀청년별로 차별화된 정신건강지원 서비스의 개선 및 향상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생활과학대학 > 아동복지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ang, Hyun Ah photo

Kang, Hyun Ah
생활과학대학 (아동복지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