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무용교육 연구 동향분석: 2019~2023Analysis of Dance Education Research Trend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2019~2023

Other Titles
Analysis of Dance Education Research Trend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2019~2023
Authors
하지원차수정
Issue Date
Jan-2024
Publisher
한국무용과학회
Keywords
Keyword analysis; Network analysis; Dance education; Research trends; Big data analysis; 키워드분석; 네트워크분석; 무용교육; 연구동향; 무용분야
Citation
한국무용과학회지, v.41, no.1, pp 37 - 48
Pages
12
Journal Title
한국무용과학회지
Volume
41
Number
1
Start Page
37
End Page
48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60206
DOI
10.21539/Ksds.2024.41.1.37
ISSN
1229-7836
2713-6949
Abstract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무용분야의 무용교육관련 논문들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관련 주제의 하위구조를 SPSS 27.0 과 Texto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2019년 이후 최근 5년간 무용교육 관련 연구의 종단적 흐름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무용교육의 주요 키워드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총 559편의 논문이 검색되었으며,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425편의 연구물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가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교육 관련 키워드 빈도분석 결과, 상위 10개를 살펴보면 ‘무용교육’, ‘문화예술교육’, ‘한국무용교육’, ‘무용전공자’, ‘대학무용교육’, ‘무용교육프로그램’, ‘연구동향’, ‘무용교육과정’, ‘초등무용교육’, ‘발레교육’, ‘코로나’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요 키워드 간의 연결 정도 중심성을 살펴본 결과, 상위 5개의 연결정도 중심성은 ‘무용교육(5.454)’, ‘문화예술교육(1.414)’, ‘한국무용교육(1.212)’, ‘무용전공자(0.858)’, ‘대학무용교육(1.262)’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무용교육의 방향성과 교육형태 측면, 전공별, 대상별 맞춤형 교육 측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이과대학 > 무용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a, Su Jung photo

Cha, Su Jung
이과대학 (무용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