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자녀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Child abuse and neglect on Children’s Social Withdrawal: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Other Titles
-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Child abuse and neglect on Children’s Social Withdrawal: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Authors
- 신지현; 강현아
- Issue Date
- Dec-2018
- Publisher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 Keywords
- 아동학대; 신체학대; 정서학대 방임; 사회적 위축;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child abuse; child neglect; self-esteem; social withdrawal; mediating effect
- Citation
- 학교사회복지, v.44, pp 1 - 22
- Pages
- 22
- Journal Title
- 학교사회복지
- Volume
- 44
- Start Page
- 1
- End Page
- 22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944
- DOI
- 10.20993/jSSW.44.1
- ISSN
- 1975-1567
- Abstract
- 본 연구는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각각 자아존중감을 통해 사회적 위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인과관계를 검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 초1(2010년)패널 중 최근 3개년도 데이터 5차(2014년, 초5)에서 7차(2016년, 중1) 설문에 참여한 2,342명의 청소년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통계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학대는 아동의 사회적 위축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사회적 위축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방임의 경우는 사회적 위축을 직접적으로 증가시킬 뿐 아니라, 자아존중감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사회적 위축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검증결과, 이러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대와 방임의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사후 개입방안 뿐 아니라 예방적․정책적 방안도 함께 논의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생활과학대학 > 아동복지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