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자의 자기 돌봄(self-care) 인식에 관한 개념도 연구Concept Mapping on Self-Care perceived by Counselor
- Other Titles
- Concept Mapping on Self-Care perceived by Counselor
- Authors
- 강현주; 이홍숙; 최한나
- Issue Date
- Apr-2016
- Publisher
- 한국상담학회
- Keywords
- 상담자 자기 돌봄; 상담자 요인; 개념도; Counselor Self-care; Counselor factor; Concept mapping
- Citation
- 상담학연구, v.17, no.2, pp 25 - 45
- Pages
- 21
- Journal Title
- 상담학연구
- Volume
- 17
- Number
- 2
- Start Page
- 25
- End Page
- 45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3446
- DOI
- 10.15703/kjc.17.2.201604.25
- ISSN
- 1598-2068
- Abstract
- 본 연구는 상담자들의 자기 돌봄에 관한 인식을 경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개념도(concept m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상담자들이 인식하는 자기 돌봄의 내용을 추출하고, 상담자들이 자기 돌봄을 인식할 때 사용하는 차원과 군집을 확인하며, 자기 돌봄 군집에 대해 부여하는 중요도와 실천 빈도를 확인하였다. 먼저 자기 돌봄의 내용을 도출하기 위해서 15명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66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으며 17명의 상담자가 66개의 진술문에 대한 유사성 평정과 중요도 및 실천 빈도를 평정하였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다차원 척도법 및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상담자의 자기 돌봄 인식에 관한 개념도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상담자들은 자기 돌봄에 관하여 2개의 차원과 7개의 군집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개의 차원은 ‘전문가적 영역-개인적 영역’과 ‘내적 자원 관리-외적 자원 활용’으로 명명되었으며, ‘상담자로서의 한계 인식과 수용’, ‘자기 자각과 조절’, ‘학습과 경력관리’, ‘관계적 지지 추구’, ‘내적 안녕감 증진’, ‘휴식과 신체건강 관리’, ‘여가 활동을 통한 환기와 충전’의 7개의 군집이 확인되었다. 각 군집에 대한 중요도 및 실천 빈도 평정 결과, 상담자들은 자기 돌봄 군집 중 ‘관계적 지지 추구’와 ‘휴식 및 신체건강 관리’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실천면에서는 ‘관계적 지지 추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 및 제한점과 함께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언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문과대학 > 교육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