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시각주의에서 비인간의 재현: 1970년대 미국과 일본의 로봇 연구를 중심으로The Representation of Non-human by Techno-scientific Visualism: Focusing on Robotics in the U.S. and Japan in the 1970s
- Other Titles
- The Representation of Non-human by Techno-scientific Visualism: Focusing on Robotics in the U.S. and Japan in the 1970s
- Authors
- 이재준
- Issue Date
- Nov-2019
- Publisher
-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 Keywords
- 과학적 시각주의; 인공지능; 휴머노이드; 로봇; 비인간; 이미지 재현성; Scientific Visualism;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oid; Robot; Non-human; Image Representation
- Citation
- 인문과학연구논총, v.40, no.4, pp 43 - 71
- Pages
- 29
- Journal Title
- 인문과학연구논총
- Volume
- 40
- Number
- 4
- Start Page
- 43
- End Page
- 71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3922
- DOI
- 10.22947/ihmju.2019.40.4.002
- ISSN
- 1225-2360
- Abstract
- 과학기술에서 시각 이미지는 과학적 실재성의 진리 주장을 보증해주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과학기술 시각주의는 과학기술 지식의 구성에서 시각 이미지의자리를 비판적으로 검토고자 하는 돈 아이디의 생각을 반영한다. 본 연구는 아이디의 과학기술 시각주의를 브뤼노 라투르의 관점과 비교하고, 이러한 시각주의가 인간적인 것을 로봇에 재현하려는 1970년대 미국과 일본의 로봇과학기술연구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스탠포드 연구소의 로봇 <쉐이키>는 인공지능 연구의 새로운 방법을 찾기위해 인간의 두뇌 기능을 로봇에게 구현하고자 했으며, 가토 이치로의 <와봇> 은 인간 신체 구조 및 기능을 이족보행 로봇에게서 실현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시각적 재현은 비인간에게서 인간적인 것을 번역해내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일종의 인간-비인간 혼종 양상을 낳는 계기가 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부설연구기관 > 인문학연구소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