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 휴대폰 의존의 변화와 부모양육태도, 소외감 간의 관계: 성차를 중심으로Associations among Changes in Mobile Phone Dependency over Time, Parenting Attitudes, and Alienation in Adolescence: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 Other Titles
- Associations among Changes in Mobile Phone Dependency over Time, Parenting Attitudes, and Alienation in Adolescence: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 Authors
- 남현지; 하은혜
- Issue Date
- Sep-2018
- Publisher
-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 Keywords
- 한국아동청소년패널; 휴대전화 의존도; 부모양육태도; 소외감; 잠재성장모형; 종단연구;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Mobile Phone Dependency; Parenting attitude; Alienation; Latent Growth Modeling; Longitudinal study
- Citation
- 미래청소년학회지, v.15, no.3, pp 75 - 91
- Pages
- 17
- Journal Title
- 미래청소년학회지
- Volume
- 15
- Number
- 3
- Start Page
- 75
- End Page
- 91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4247
- DOI
- 10.34244/fy.2018.15.3.75
- ISSN
- 1738-4753
- Abstract
- 본 연구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휴대폰 의존도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외감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 중 1차(2010년)-3차(2012년)의 중학교 1학년 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자료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변화궤적과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매개경로의 효과성 분석을 위해 붓트스트랩 검증을 응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청소년의 휴대폰 의존도는 학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한편 초기에 의존도가 높았던 학생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의존도의 변화율은 낮아졌다. 둘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휴대폰 의존도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휴대폰 의존도의 초기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소외감을 매개로해서 영향을 미쳤다. 넷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휴대폰 의존도의 초기치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외감의 매개효과를 성별에 따라 확인했을 때 남녀 모두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또래관계에서 소외감을 매개로 휴대폰 의존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전국 단위표집의 종단적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청소년의 휴대폰 의존도에 소외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청소년의 휴대폰 과몰입을 예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중요한 시사점을 가진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생활과학대학 > 아동복지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