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직문화와 자기 효능감, 직무만족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n the Self-Leadership

Other Titles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n the Self-Leadership
Authors
가선영남승하
Issue Date
Mar-2018
Publisher
경인행정학회
Keywords
self-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셀프리더십; 조직문화; 자기 효능감; 직무만족
Citation
한국정책연구, v.18, no.1, pp 125 - 146
Pages
22
Journal Title
한국정책연구
Volume
18
Number
1
Start Page
125
End Page
146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4598
ISSN
1598-7817
Abstract
본 연구는 새로운 리더십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셀프리더십이 개인과 조직의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대국민 서비스를 수행하여 국민 생활에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공무원에게도 요구되므로 그들의 조직 문화와 자기 효능감, 직무만족이 셀프리더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조직 문화의 개별 특성과 자기 효능감, 직무만족은 셀프리더십의 세 가지 구성 개념에 미치는 영향이 각각 달랐다. 조직문화의 경우 집단문화는 자연적 보상 전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위계문화의 경우 셀프리더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자기 효능감의 하위 변인인 자신감의 경우 셀프리더십의 인지전략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자기조절 효능감은 행동 중심적 전략과 건설적 사고 패턴 전략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마지막으로 과제 난이도 선호는 과업 동기와 관련된 자연적 보상 전략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직무만족의 경우 행동 중심적 전략과는 유의미했으나 개인의 사고를 통제하는 인지전략들과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본 연구는 개별 변수들의 하위 변인을 각각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다수의 선행 연구들에서 셀프리더십을 원인변수나 매개 변수로 활용한데 반해 결과변수로 활용하여 셀프리더십의 영향 변수들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했음에 의의가 있다.
This is a study of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culture,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self-leadership in public officials by using th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ulture, sub-variables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have different effects on three constitutional concepts of self-leadership. Group cultur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atural reward strategies. While self-confidence, which is a sub-variable of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cognitive strategy, self - regulation efficacy has a positive(+) impact on behavior focused strategies and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Task difficulty preferences has a positive (+) impact on natural reward strategies related to task motivation. Finally, job satisfaction related to work showed meaningful results with behavior focused strategies such as affecting individual 's behavior and leading to high performance. This study led to the implementation of specific research by examining the sub-variables of individual variables separately.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that self-leadership was previously used as a reason variable or a parameter in the previous studies, but resulted in meaningful results as a result variable.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과학대학 > 행정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Nam, Sung Ha photo

Nam, Sung Ha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