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방과후 학교 학습동기와 창의적 인성에 대한 탐색적 모형 연구An Explorativ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of Art and Culture after school Program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Creativity Development

Other Titles
An Explorativ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of Art and Culture after school Program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Creativity Development
Authors
조성경김세준
Issue Date
Nov-2014
Publisher
한국예술경영학회
Keywords
Learners; Arts Education; After School Programs; Academic Motivation; Creativity Development;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방과후 학습; 학습동기; 창의적 인성
Citation
예술경영연구, v.32, pp 145 - 171
Pages
27
Journal Title
예술경영연구
Volume
32
Start Page
145
End Page
171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5767
ISSN
1598-3870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 몰입환경 제공을 통하여 학생의 삶의 만족과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하는 동기요인을 보다 세밀히 관찰하여 실제로 문화예술에서 강조하고 하는창의성과의 관계파악을 하고, 학습자의 조건에 맞는 문화예술 교육을 설계하고 제공하여 이를 지속적으로 내재화된 동기로 삼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강화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데 있다. 모형연구를 위해 2014년 6월 한 달간 서울지역 소재 2개 중학교, 4개 고등학교에서 방과후 문화예술교육을 이수하고 있는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를 위하여 한국교육 종단연구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4차년도(2005년)한국교육 종단연구 자료를 사용하였다. 학업적 자기조절 척도와 창의성 검사에 대한 아동의 문항 이해도를 파악하고 척도 문항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창의적 척도로 기존 검증된 학습동기 검사도구와 창의 인성검사 도구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대상자 일반적 특성 파악을 위한 빈도분석 후,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해 Cronbach’ ∝ 산출하고,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학습동기, 창의성 도구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산분석 및 다중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학습동기가 창의성에 미치는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요인으로 학생 ID, 학교 ID, 성별, 재학고등학교 유형이며, 독립요인으로 학교프로그램경험(방과후 학교 교과보충,방과후 학교 특기적성) 동아리종류(문화예술, 학습관련, 스포츠, 취미오락, 종교관련, 사회봉사, 청소년단체, 기타(주관식 미기재), 방송반, 분류불가)이다. 종속요인은 학습목표지향성(숙달접근, 수행접근, 수행회피), 자기조절학습전략검사 내 자기효능감 및 노력과 끈기 항목이다. 연구결과는 만족수준과 자기효능감 및 노력과 끈기는 집단 간 차이가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방과후 학교 특기적성 프로그램 만족정도와 자기효능감, 행동조절(노력끈기)차이분석은 방과후 학교 특기적성 프로그램 참여학생의 만족 수준과 자기효능감, 행동조절(노력끈기) 요인와의 집단 간 차이분석인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만족수준과 자기효능감 및 노력과 끈기는 집단 간 차이가 모두 유의미한것으로 조사되었다. Duncan 사후 검증결과 자기효능감은 방과후 학교특기적성프로그램이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보통이다”라고 느낀 집단과 “매우 도움이 된다”라고 응답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특기적성교육에 도움이 된다고느끼는 집단일수록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행동조절(노력끈기)요인과의 분석결과 자기효능감과 마찬가지로 방과후 학교특기적성프로그램이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보통이다”라고 느낀 집단과 “매우 도움이 된다”라고응답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와 관련 이론을 토대로 향후 후속연구에서 창의적 인성과 학습동기의 경향과의 관계와 중학교와 고등학교 간의 차이, 예술중점학교와 일반학교 간의 수준 차이 등이 학교별 설문을 통해 파악되기를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문화관광외식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ae June photo

Kim, Sae June
문과대학 (문화관광외식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