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The Effects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and ADHD Symptoms o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및 ADHD 증상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및 ADHD 증상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송미림하은혜
Issue Date
May-2014
Publisher
한국놀이치료학회
Keywords
실행기능 결함; ADHD 증상; 자기주도 학습능력;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ADHD symptoms;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Citation
한국놀이치료학회지, v.17, no.2, pp 193 - 207
Pages
15
Journal Title
한국놀이치료학회지
Volume
17
Number
2
Start Page
193
End Page
207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6017
ISSN
1229-0858
2384-0153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실행기능 및 ADHD 증상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1,016명을 대상으로 아동용 실행기능 결함 척도, ADHD 아동용 척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척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및 ADHD 증상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그 하위요인인 학습계획, 학습실행, 학습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고, 실행기능의 결함이 많을수록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실행기능 결함의 하위요인 중 주의집중, 계획 및 조직화, 행동 및 정서조절의 결함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그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계획 및 조직화의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ADHD 증상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그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고, ADHD 증상이 심할수록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ADHD 증상의 하위요인 중 주의산만과 충동성 증상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그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주의산만의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과잉행동 증상은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하위요인 중 학습실행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고식의 아동용 실행기능 결함 척도와 ADHD 증상 척도를 사용하였고, 아동의 실행기능 및 ADHD 증상이 학습관련 변인인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생활과학대학 > 아동복지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a, Eun Hye photo

Ha, Eun Hye
생활과학대학 (아동복지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