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누적 위험 요인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Cumulative Risk of Adolescents on Their Depression and Anxiety
- Other Titles
- The Effect of Cumulative Risk of Adolescents on Their Depression and Anxiety
- Authors
- 강현아
- Issue Date
- Sep-2013
- Publisher
- 한국청소년학회
- Keywords
- cumulative risk model; adolescents' depression and anxiety; adolescents under poverty; life event; 누적 위험모델; 청소년 우울 및 불안; 빈곤청소년; 청소년 외상사건 경험
- Citation
- 청소년학연구, v.20, no.9, pp 175 - 197
- Pages
- 23
- Journal Title
- 청소년학연구
- Volume
- 20
- Number
- 9
- Start Page
- 175
- End Page
- 197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6280
- ISSN
- 1229-6988
- Abstract
- 본 연구는 누적 위험모델(cumulative risk model)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청소년의 누적 위험 수준이 우울 및 불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청소년의 누적 위험 수준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가정의 경제적 상황(빈곤여부), 청소년의 과거 외상 사건 경험, 거주생활환경의 물리적 위험성, 이렇게 세 가지 위험구성요인을 통해 측정되었다. 통제변수로는 전년도 우울 불안 수준, 성별, 자아개념, 부모와의 애착, 부모감독이 포함되었다. 2차 자료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청소년패널데이터를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관심변수 데이터를 포함하는 3-6차년도 종단데이터(고등학교 1학년 시기부터 대학교 1학년 연령까지 측정)가 활용되었다. 통계분석방법으로는 동일한 대상에 대한 반복측정으로 인해 비롯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화추정방정식(GE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빈곤여부에 따라 누적 위험요인에 있어 큰 차이를 드러냈으며, 특히 과거 외상사건에서 매우 큰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종단분석 결과, 누적 위험 정도는 전년도 우울 및 불안을 통제하고도 우울 및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에게 오랜 기간 동안 축적된 심리적 상처와 빈곤의 영향, 그리고 거주환경의 위험성의 영향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에 대한 임상적 정책적 함의를 논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생활과학대학 > 아동복지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