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ADHD 증상이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행기능의 매개효과The Mediating Effects of Executive Function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ADHD Symptoms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 Other Titles
- The Mediating Effects of Executive Function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ADHD Symptoms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 Authors
- 김민주; 하은혜
- Issue Date
- May-2013
- Publisher
- 한국임상심리학회
- Keywords
- ADHD; executive functions; inattention; hyperactivity; peer relationships; DHD; 실행기능;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또래관계
- Citation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32, no.2, pp 313 - 330
- Pages
- 18
- Journal Title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Volume
- 32
- Number
- 2
- Start Page
- 313
- End Page
- 330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6387
- DOI
- 10.15842/kjcp.2013.32.2.003
- ISSN
- 2733-4538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실행기능 결함이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ADHD 증상이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행기능 결함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지역 중학생 450명(남자 197명, 여자 253명)을 대상으로 ADHD 진단척도, 청소년용 자기보고식 실행기능 행동 평가 척도(BRIEF-SR), 또래관계 질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ADHD 증상이 심한 청소년일수록 실행기능을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크고, 전반적인 또래관계 질이 낮으며, 부정적인 또래관계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ADHD 증상의 하위유형 중 주의력 결핍 증상이 충동성 및 과잉행동 증상보다 또래관계 질의 전반적인 저하와 실행기능의 문제를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실행기능의 하위요인 중 전환, 자기감찰, 과제완성의 어려움이 클수록 전반적인 또래관계 질이 낮았고, 계획/조직, 과제완성, 자료의 구조화 문제가 심할수록 긍정적인 또래관계 경험이 부족했으며, 억제, 전환, 감정조절의 문제가 클수록 부정적인 또래관계 경험이 심각하였다. ADHD 증상이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행기능 결함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완전매개 모형의 적합도가 우수하였고, ADHD 증상을 보이는 청소년은 증상 자체의 특성보다 일상생활에 실행기능을 적절히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또래관계 부적응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생활과학대학 > 아동복지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