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아동 신체화척도의 타당화 연구:고등학생을 대상으로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Children's Somatization Inventory for High School Students
- Other Titles
-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Children's Somatization Inventory for High School Students
- Authors
- 김서윤; 하은혜
- Issue Date
- Jan-2009
- Publisher
-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 Keywords
- adolescent; somatization; Korean Children's Somatization Inventory; reliability; validity; 청소년; 신체화; 한국판 아동 신체화척도; 신뢰도; 타당도
- Citation
- 인지행동치료, v.9, no.1, pp 25 - 37
- Pages
- 13
- Journal Title
- 인지행동치료
- Volume
- 9
- Number
- 1
- Start Page
- 25
- End Page
- 37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7714
- ISSN
- 1976-667X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타당화 되었던 한국판 아동 신체화척도가 청소년에게도 적용가능한지 검토하고자 고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서울, 부산, 경기 지역 6개 고등학교의 1, 2학년 학생 1,590명(남자 730명, 여자 86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아동신체화 척도와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 신체화척도를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제 1요인이 통증 및 허약 증상, 제 2요인이 전환 및 유사신경학적 증상, 제 3요인이 소화기 증상, 제 4요인이 시각적 증상을 나타내는 등 아동의 요인구조와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한국판 아동 신체화척도의 총점과 하위 변인 간 상관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 신체화척도와 한국판 아동 신체화 척도가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 공인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척도의 전체 내적 합치도와 각 하위변인의 내적 합치도가 양호하였다. 또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신체화 전체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고등학생들의 신체 증상 경험 빈도를 조사한 결과 자주 경험하는 신체 증상들은 두통, 어지러움, 배에 가스가 참, 배가 아픔, 눈이 흐림 등의 순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신체증상 경험에 대한 예비적인 규준 자료를 제공했다는 의의가 있으며, 제한점과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생활과학대학 > 아동복지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